관상 (92) 썸네일형 리스트형 관상 등 허리 엉덩이 다리로 보는 성격 적성 행운 등을 보면 상대를 알 수 있다 등은 그 사람의 마음을 반영한다 사람은 다른 부위는 얼마든지 꾸미고 치장할 수 있어도 등에는 다른 치장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등에는 그 사람의 마음이나 인생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등이 단단하고 풍부한 사람은 강건하다 등줄기가 곧게 뻗어 있고 등이 풍부한 느낌을 주는 사람은 기력과 체력이 다 뛰어나며 세파를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등의 중앙이 세로로 움푹 파여 있는 사람은 훌륭한 생활을 유지하고 성공할 수 있다. 판자 위에서 자면 등의 상이 좋아진다 판자 위에서 자면 기분 좋게 잘 수 있고 피곤이 잘 풀릴 뿐만 아니라 등의 상도 좋아진다. 딱딱한 깔개 위에서 자면 지압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부드러운 매트리스는 조로조사(早老早死)의 원인이 된.. 관상 목 어깨 가슴으로 보는 성격 적성 행운 목을 보면 상대를 알 수 있다 인간은 목부터 늙는다 인류는 직립보행을 할 수 있게 되고 나서부터 자유롭게 양손을 써서 불을 취급하고 도구를 만드는 등 문명의 기초를 쌓았다. 그러나 그 직립보행은 무거운 머리를 몸의 정점에 세우고 행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동물에 비해 머리를 받치는 목이나 어깨에 어느 정도 부담을 주게 되었다. 그리고 그 부담은 목, 어깨 근육이 뻐근하고 아픈 증세를 나타낸다. 또 허리는 상체 전부를 받치기 때문에 요통으로 고생을 하기도 하는데, 이는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병이다. 인간은 목으로부터 나이를 먹어간다. 목덜미가 마치 코끼리의 피부처럼 되어 있는 노인이 있는데 젊은 사람의 목은 피부가 반들반들 하지만 나이를 먹으면 이완하게 된다. 목의 상태는 그 사람의 노화도를 한눈에 보여준.. 관상 법령 치아 턱 뺨으로 보는 성격 적성 행운 법령을 보면 상대를 알 수 있다 법령(法令)이란 코의 양 옆으로부터 입의 양끝에 걸쳐서 새겨져 있는 주름살을 말한다. 법령은 그 사람의 사회적인 위치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지위가 확립됨에 따라 뚜렷이 새겨지게 된다. 중년이 되어서도 법령이 얕게 새겨져 있는 사람은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했거나 생계에 곤궁을 겪는 경우가 많다. 깊은 법령은 생계의 독립을 가리킨다 법령이란 인상학 용어이고 의학 용어로는 ‘구순구(口脣溝)'라고 한다. 이 법령이 뚜렷하고 깊게 새겨진 사람은 지위나 신분에 관계없이 독립된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이다. 성공한 사람으로서 법령이 얕은 사람은 거의 없다. 법령의 좌우가 가지런하지 않은 사람은 불성실하다 법령이 좌우 가지런히 되어 있지 않은 사람은 직업에 대해서 성심이 부족하고 불충분.. 관상 입과 입술로 보는 성격 적성 행운 입과 입술을 보면 상대를 알 수 있다 입은 생활력, 생존력, 본능을 나타낸다 입은 그 사람의 지성이라기보다는 감정적 혹은 감각적인 면이나 의지의 상태 등을 강하게 표현하는 곳이다. 사람이 중대한 결의를 했을 때는 입을 굳게 다물며, 방심했을 때나 놀랐을 때에는 멍청하게 입을 벌린다. 화를 내면 입을 뾰족하게 하거나 삐죽거린다. 입은 생활력, 생존력, 본능을 표현하는 곳으로써 성욕도 나타난다. 따라서 입술과 입술의 접촉이 성적인 행위가 될 수 있다. 윗입술은 그 사람의 적극성을 나타내고 부성(父性)을 가리킨다. 아랫입술은 소극성을 나타내고 모성(母性)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상하의 입술을 보면 사람의 성격을 알 수 있다. 또 입의 크기에 따라 성격과 운세가 달라지며 입술의 색깔에 따라서도 여러 가지로 달라.. 관상 코 모양으로 보는 성격 적성 행운 코를 보면 상대를 알 수 있다 코는 인격을 표현한다 코는 그 사람 자체를 표현한다고 한다. 흔히 사람들이 “저 말입니까” 하고 말하면서 손가락으로 자신을 가리킬 때는 어디를 가리키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코를 손으로 가리키고 있다. 그것도 무의식 중에 그렇게 할 때가 많다. 절대로 입이나 눈, 귀를 가리키지는 않는다. 코는 얼굴의 한복판에 있다.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한 치만 더 낮았더라면 역사는 바뀌었을 것이다"”라고 하는데 코는 아름다움이나 프라이드의 상징이기도 하다. “딸아이의 말이 나오면 저 사람은 콧대가 높아진다”고도하며, 풀이 죽으면 “콧대가 납작해졌다.”고도한다. 코 하나만을 놓고서도 갖가지 인간 판단을 할 수 있다. 옛날의 왕족이나 재상들은 코가 높고 가름한 얼굴의 사람이 많았다. 그.. 관상 귀 모양으로 보는 성격 적성 행운 귀를 보면 상대를 알 수 있다 귀는 뇌의 모양과 흡사하다 귀의 모양은 뇌의 모양과 흡사하다고 한다. 따라서 귀는 그 사람의 유전적인 특징을 잘 나타냄과 동시에 소질이나 현명함, 어리석음 등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귀가 뇌와 흡사하다는 것은 그 모양만을 보고 하는 말은 아니다, 생리학적으로도 뇌의 작용을 대변하는 것 같은 면이 있다. 그것을 잘 증명하고 있는 것이 중국 의술의 하나인 이침법(耳針法)이다. 이침법이란 귀에 침 치료를 시행하는 것으로서 병을 고치려고 하는 치료법이다. 귀에는 내장을 위시해서 전신의 경혈이 모여 있다. 따라서 귀에 침료법을 쓰면 온몸의 각 부위에 걸친 병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침법은 1950년대 후반 프랑스의 의학박사 노이제르에 의해 알려졌지만 동양에서는 거의 주.. 관상 눈과 눈꺼풀로 보는 성격 적성 행운 눈을 보면 상대를 알 수 있다 눈은 마음의 창 눈은 그 사람의 심리를 잘 나타내는 기관이다. 우리는 남과 접할 때 종종 상대방 눈빛으로 이야기의 진실성이나 본심을 파악하려고 한다. 입으로 바른말을 하는 사람이라도 그 눈빛이 사악하면 좀처럼 신용할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반대로 악명 높은 사람이라도 웃는 눈에 부드러움이 깃드는 것을 보았을 때 우리는 또 다른 진실을 느끼기도 한다. 확실히 “눈은 마음의 창”이다. 인상학의 지식만 있으면 그 '창’을 통해서 상대방의 마음을 읽는 것은 쉬운 일이다. 또 눈은 건강상태를 잘 나타낸다. 수면 부족일 때는 충혈되고 극도로 피로하면 힘없이 지친 눈빛이 된다. 죽을 때가 되면 눈은 공허하게 흐려지고 얼토당토않은 한 점을 응시하게 된다. 눈에는 정기가 있어야 한다. 눈은.. 관상 눈썹으로 보는 성격 적성 행운 위의 그림처럼 눈썹을 5 등분하여 미간 쪽으로부터 차례로 운(運), 명(命), 복(福), 춘(春), (住)로서 일생의 운을 보는 방법이다. 눈썹이 시원스러우면서도 고우면 다섯 가지가 모두 좋지만 예를 들어 ㆍ명(命)의 부분에 상처가 있을 때는 그 사람에게 사고나 병 같은 이상이 생기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다만 눈썹 속의 큰 점은 총명함을 나타낸다. ‘운(運)'의 부분에 상처가 있을 때는 남과 협조하지 못하고 반항하거나 다투게 된다. '복(福)'의 부분에 상처가 있으면 경제적으로 불운하다. 춘(春)의 부분에 상처가 있을 때는 육친의 인연이 희박하고 고독하게 된다. 그리고 주(住)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자칫하면 주거가 일정하지 않아 일생을 그 일로 고생하게 된다. 그리고 좌우의 눈썹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관상 이마 모양에 따른 사람 성격 이마를 보면 상대를 알 수 있다 이마는 얼굴의 최상부에 있으며 눈에 제일 잘 띄는 부분이다. 인상학적으로는 이마가 그 사람의 초년운을 가리키는 것 외에 그 사람의 두뇌나 정신을 표현하고 있는 곳이다. 이 부분에 상처를 받거나 하면 운명에 차질이 생긴다. 두뇌를 손상한 것이 되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마가 넓은 사람은 머리가 좋은가 “저 사람은 이마가 넓으니 머리가 좋겠군.” 하는 소리를 흔히 듣지만 반드시 그렇다고 할 수는 없다. 넓은 이마가 혈색도 좋고 고울 경우이면 맞는 말이지만, 울퉁불퉁하거나 상처가 있거나 얼룩 같은 것으로 더럽혀진 이마의 경우는 뛰어난 두뇌를 가진 사람이라고 할 수 없다. 이마가 좁은 사람은 지능이 낮은가 극단적으로 이마가 좁은 사람 중에 얼마간 지능이 떨어지는 사.. 관상 얼굴 3분법 삼정(三停) 및 얼굴형에 따른 분류 얼굴의 3분법으로 상대를 알 수 있다. 여기서의 판단법은 얼굴을 아래의 그림처럼 상 ㆍ중 ㆍ하의 ㆍ삼정(三停)으로 분할하고, 그중 상정(上停)은 다시 상 ㆍ중 ㆍ하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각 부분으로 보는 것이다. 상정은 타고난 숙명을 나타낸다 상정은 이마를 말한다. 상정이 시원스럽고 혈색이 좋으며, 울퉁불퉁하지 않고 상처와 얼룩 같은 것이 없는 것은 좋은 상이다. 이마의 주름살도 곱게 새겨져 있으면 더욱 좋은데 유년기와 소년기가 행복했음을 나타낸다. 부모의 은혜를 충분히 받고 태평하게 성장한 사람이다. 또 상정이 고운 사람은 두뇌도 좋다. 상정에 얼룩이나 상처가 있고 울퉁불퉁한 사람은 유년기와 소년기에 부모 사이가 나빴거나 가난 때문에 부모가 일하는 데만 힘쓴 나머지 많은 보살핌을 받지 못했음을 나타낸..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