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수지리

아파트 풍수지리별 길흉 점수 ③

반응형

21. 건물 모양은 안정, 균형, 매끈함이 우선이다

집이 안정된 모양을 가지면 건물의 모든 부분들이 튼튼히 짜여 있고, 한 층이 다른 층에 비해 심각하게 크지도 작지도 않다. 또 집이 안정되려면 위층들이 튼튼한 기초 위에 지어져야 한다. 따라서 돌기둥이나 나무 기둥 위에 지어진 집들은 구조적으론 안전해도 풍수적으론 불안정하다. 균형은 집의 모양이 불규칙적이지 말아야 하고, 매끈한 집은 거칠거나 튀어나온 곳이 없는 집을 말한다. 즉 각 층에 있는 방들이 돌출되어 나와 있지 않으며, 날카롭게 각이 진 삼각형의 지붕이 없으며, 지붕에 삐죽 튀어나온 창, 높은 굴뚝, 탑이 없어야 한다. 돌출된 부분은 부정적인 기를 집 안에 가두어 둔다.

☞ 지상 1층은 기둥만 세우고 2층부터 건물을 올려놓은 건물, 지상 1층을 주차장으로 쓰는 건물, 돌출이 많고 균형이 잡히지 않은 건물, 두 개의 건물을 회랑(다리)으로 연결한 건물, 건물의 일부분만 개조했거나 증축한 건물 등은 모두 가상(家相)이 좋지 못하다. 건물의 모양이 매우 흉하면 1점이고, 흉한 정도이면 2점이다. 보통의 경우는 3점이고, 건물 모양이 우수하면 4점이고, 매우 우수하면 5점이다.

 

 

 

22. 주위보다 높게 지은 집은 불길하다

주위의 집보다 높이 솟아 두드러지면 불길하고 재산이 늘지 않는다고 하였다. 현대의 초고층 아파트들은 인위적인 냉난방시설이 없거나 고장이 나면 여름에는 더워서, 겨울에는 추워서 살지 못한다.

☞ 건물의 높이가 매우 높아 세상의 주목을 받는 집에 살면 1점이고, 마을 내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면 2점이다. 보통의 아파트라면 3점이고, 저층의 아파트는 4점이다. 그리고 고급 빌라와 같이 단층이나 2층 정도의 건물은 5점이다.

 

 

 

23. 집은 남향이 좋다

예로부터 ‘남향집에 살려면 3대에 걸쳐 덕을 쌓아야 한다.’고 한다. 이 말은 남향집은 매우 살기 좋은 집이기 때문에 그런 집에 살려면 그만한 희생도 감수해야 한다는 뜻이다. 또 ‘임금은 남쪽을 바라보며 정사를 펼친다.’고 했으니 남향은 제왕의 방위이다. 남향은 햇볕이 많이 들어 집에 양명한 기운을 북돋운다. 또 햇볕의 일광 소독은 집의 수명이나 주인의 건강과 직결되니, 되도록 마루나 방도 건조해야 하고 통풍도 좋아야 한다. 한국은 여름에는 남동풍, 겨울에는 북서풍이 부는데, 따라서 남향집을 지으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바람이 막혀 아늑한 집이 된다.

☞ 남향집은 5점, 남동향집은 4점, 동향집은 3점, 서향집은 2점, 북향집은 1점이다.

 

 

 

24. 현관은 외부의 기가 집안으로 출입하는 수구이다

현관은 외부의 기가 집안으로 출입하고, 길흉화복을 부르거나 막는 장소이다. 그리고 주인의 신분, 권세, 지위, 내력의 상징물로 보아 가문(家門)이란 말이 생겼다. 따라서 문설주가 비뚤어지거나 구부러지면 주인의 체모와 위엄이 서지 않고 곧 쇠락할 집으로 여겼고, 기둥이 구부러져 있으면 질병에 시달릴 상으로 보았다.

☞ 현관문에 얼룩이 져 더럽거나, 녹이 슬었거나, 여러 광고물이 부착되어 지저분하거나, 먼지가 쌓여 있다면 모두 가문이 더럽혀진 것이다. 그 정도가 매우 심하면 1점이고, 심한 정도이면 2점이다. 보통의 경우는 3점이고, 깨끗하면 4점이며, 가문이 반짝반짝 빛나면 5점이다.

 

 

 

25. 현관은 밝고 깨끗해야 복이 들어온다

현관은 그 집의 얼굴로서 전체의 인상을 좌우한다. 따라서 조명은 밝게 하고, 신발들은 가지런히 정돈하고, 바닥은 청소를 깨끗이 하거나 고급스러운 매트를 깐다. 또 우산이 쓰러져 있으면 흉하고, 또 현관에 죽거나 시든 나무와 꽃을 두면 음기를 불러들여 흉하다.

☞ 현관이 어둡고 물건이 어지럽게 널려 있으면 1점이고, 현관의 전등이 꺼져 어두우면 2점이다. 보통의 경우라면 3점이고, 현관이 밝으면 4점이고, 현관이 밝고 깨끗하면 5점이다.

 

 

 

26. 현관과 일직선상에 놓인 침실과 화장실은 흉하다

현관문을 열었을 때 방문이 정면에 보이면 흉하다. 외부의 살기가 방문을 통해 방 안으로 직접 쏘아 들기 때문이다. 또 화장실이 현관과 마주 보이는 위치라면 식구들에게 종기․부스럼이 떠나지 않는다. 화장실이 남의 눈에 띄면 기분이 상쾌하지 못하다.

☞ 현관과 침실, 현관과 욕실이 서로 마주 보이는 집은 1점이고, 비록 마주 보이나 문설주 위에 발이나 차양을 설치해 외부의 살기가 안으로 직접 쏘아 들지 못하면 2점이다. 둘 중에 하나가 현관과 마주 보면 3점이고, 그 하나에도 발이나 차양을 쳐 비보했다면 4점이며, 전혀 현관에서 보이지 않으면 5점이다.

 

 

 

27. 현관에 다는 거울은 큰 것을 피한다

거울은 기를 반사하거나 굴절시키는 물건이다. 현관에 전신 거울을 달거나 신발장 위에 사각의 큰 거울을 걸어 놓으면, 현관을 통해 들어오는 양기를 거울이 몰아내거나 생기를 왜곡시켜 흉하다.

☞ 현관에 거울이 없으면 5점이고, 작은 거울이 있으면 4점이다. 보통 사각 거울이 신발장 위에 있는데 화분 등으로 양 옆을 가려 놓았다면 3점, 그대로 노출했다면 2점이다. 전신 거울이 현관에 붙어 있다면 1점이다.

 

 

 

28. 거실은 기를 각 방으로 공급하는 마당이다

거실의 기가 산만하면 가족 간에 불화가 싹트고, 건강과 재물운이 나빠진다. 또 각 방으로 기를 공급해 주는 마당의 역할도 제대로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거실은 전통 주택의 마당처럼 밝은 빛이 들고, 청결하면서 어지럽지 않으며, 여러 물건들을 정 위치에 두어야 한다.

☞ 거실에는 장식장, 소파, TV, 비디오, 음향기기, 컴퓨터, 피아노, 운동기구, 벽난로, 거실가구 등이 놓이는데, 전통 주택의 마당과 같이 모든 것이 정돈되고 깨끗한 느낌을 줘야 한다. 그리고 이들을 배치하고도 거실의 기능은 막히지 말아야 한다. 거실의 분위기가 매우 양호하면 5점이고, 양호하다면 4점이다. 보통의 수준이면 3점이고, 어수선하면 2점이고, 대형 수족관까지 설치해 놓았다면 1점이다.

 

 

 

29. 발코니 확장 시 거실과 발코니의 천장 높이가 같아야 한다

높이가 다른 천장은 천장의 높이를 덧붙여 같은 높이로 만들거나 일정 높이로 개조해 살기를 무마시켜야 한다. 그리고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천장을 공사하거나 천으로 가려 마치 없는 것처럼 중화시켜야 집 안의 운이 악화되지 않는 등 풍수적으로 길하다.

☞ 거실과 발코니의 천장 높이가 다를 때는 2점이고, 보아지까지 노출되었다면 1점이다. 발코니 천장을 천으로 가렸다면 3점이고, 두 천장의 높이가 같으면 4점이고, 마무리 공사가 깔끔하면 5점이다.

 

 

 

30. 전망이 넓은 거실은 마음을 황량하게 만든다

자연적인 상태에서 전망이 좋은 높은 곳은 바람이 세차게 부는 곳이라 안온과 편안이 요구되는 살림집으론 적절치 못하고, 낮 동안에 잠시 쉬었다 돌아오는 장소로 적당하다. 고층 아파트에서 베란다를 통해 시야가 넓게 트이면, 건강과 화목, 부자의 기운이 베란다의 넓게 트인 공간을 통해 도망갈 위험이 크다.

☞ 베란다나 거실의 창가 쪽에 커튼을 넓게 치고, 잎이 많은 관엽식물을 베란다 중앙에 배치한다. 넓은 전망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면 1점이고, 커튼으로 양쪽 끝을 가렸으면 2점이다. 두꺼운 커튼 안쪽에 얇은 커튼으로 베란다 쪽을 가려 놓았다면 3점이고, 관엽식물을 일렬로 놓아두면 4점이다. 두꺼운 커튼을 쳐 두고 필요시에만 열고 밖을 내다보면 5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