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상

얼굴 관상 보는 법 총론

반응형

제1 장 안면총론 (顔面總論)

상법(相法)을 연구함에 있어 먼저 익혀 두고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이 있으니 그것은 각 부위(部位)의 분류와 분류된 명칭이다. 물론 눈, 코, 귀, 입 등 누구나 알고 있는 고유의 명칭이 있으나 상법 학술상 부여된 술어를 사용함으로써 하나하나 분석해 나가기가 편리한 것이니 특별히 유의하여 혼동됨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1. 삼정(三停)

삼정(三停)이란 얼굴을 상, 중, 하로 삼분한 것인데, 삼정도 그림과 같이 인당(印堂) 위로부터 이마(額) 전체를 상정(上停), 인당 아래로부터 준두(準頭, 코의 끝)까지를 중정(中停), 인중으로부터 턱(頦) 밑까지를 하정(下停)이라 한다. 상정은 넓고 둥글고 윤택함이 좋은데 상정이 좋은 사람은 부모의 덕이 있고 윗사람의 도움을 많이 입는다.(상정은 15세부터 30세까지의 운을 지배한다.)

 

중정이 바르고 두터우면 수복(壽福)을 누리는데 중정이 풍성하고 코가 현담(懸膽-달아맨 쓸개)처럼 생겼으면 중년에 부를 누린다. 그리고 중정이 좋은 사람은 형제의 덕이 있고 친우의 도움을 많이 입게 된다.(중정은 31세부터 50세까지의 운을 지배한다.)

 

하정은 모지고(方) 두터워야 하는데 하정이 좋은 사람은 자녀의 덕과 아랫사람의 덕을 많이 입는다. 하정이 풍부하여 앞으로 오긋해서 상정과 조공(朝貢)했으면 말년에 부귀를 누린다. (하정은 51세부터 사망할 때까지의 운을 지배한다※ 14세 이전의 운은 귀가 지배한다.)

 

상정이 길면 젊어서 길(吉)하며 중정이 길면 군왕(君王

삼정도

)과 같이 몸이 귀(貴)하게 되며 하정이 길면 말년의 운이 대길하며 좋은 일이 많게 된다.

 

얼굴 위의 삼정을 자세히 보라 이마가 높고 귀 문이 넓어야 좋다 학당 삼부가 좋지 못하면 문장에 뛰어남이 있으나 벼슬을 하지 못한다.

 

2. 삼 재(三才)

삼재(三才)란 천(天), 인(人), 지(地)를 말하는데 이마는 하늘을 상징하고 코는 사람을 상징하고, 턱(地)은 땅을 상징한다. 삼재의 위치는 삼재 지도와 같삼재를 판단하는 법은 삼정(三停)과 같다. 이마는 둥글고 넓여야므로 이르기를 하늘을 얻은 자는 곳 귀인이라 하겠다. 코는 인(人)에 비하니 바르고 가지런하여야 좋으므로 이르기를 사람을 얻는 자는 오래 사는 힘을 얻음이라 하겠다. 턱은 땅(地)에 비하니 모나고 넓어야 좋은 것이니 이르기를 땅을 얻은 자는 부(富)를 얻음이라 하겠다.

 

3. 육부(六部)

육부는 좌우보골(左右輔骨), 좌우관골(左右觀骨), 좌우이골(左右頤骨)을 말함인데 이마의 좌우(輔角으로부터 天倉에 아르는 곳까지)가 상부(上府), 광대뼈(觀骨 - 命門으로부터 虎耳에 이르는 곳)의 좌우를 중부(中府), 볼(腮- 頤骨로부터 地閣에 이르는 곳)의 좌우를 하부(下府)라 한다.

육부도

육부(六府)가 곧고 살이 차서 죽은 데가 없고 다른 결점이 없으면 재물이 왕(旺) 하나, 함(陷)하고, 흠(痕)이 있거나 주름, 사마귀가 있으면 좋지 않다. 이마가 오뚝하고 좌우 보골이 숫은 사람은 부귀한다. 관골(觀骨-중부)이 솟은 사람은 권세를 잡게 된다. 지각(地閣-하부)이 모지고 두터우면 말년에 자식 복이 많고 전장(田庄)을 많이 장만한다.

 

 

4. 오성(五星) 및 오묘(五曜)

오성(五星)이란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의 오행(五行)을 말함인데 얼굴에는 각각 그에 따르는 오행의 부위가 있다. 오성(五星)의 위치는 두 귀와 이마, 코에 속하는바 즉 오른쪽 귀는 금성(金星-여자는 木星)의 위치요 왼쪽 귀는 木星(여자는 金星)의 위치요 입은 수성(水星)의 위치요, 이마는 화성(火星)의 위치요. 코는 토성(土星)의 위치다. 금성과 목성은 즉 귀로써 윤곽이 분명하고 홍백색이며 대소(大小)를 불구하고 귀 문이 넓고, 단정하며 재껴지거나 뾰족하지 않으며, 두 귀의 크기가 같고, 또 위치가 눈썹 위에 있고 흰빛이 은(銀)과 같으면 대길한 상으로 소년에 녹(祿)을 얻는다. 그러나 쭈그러지고, 두 귀의 크고 작음이 다르고 비뚤어지면 재산을 파하고 학업도 이루기 어렵다.

오성 오요도

수성(水星)은 입인데 입술이 주홍색이고 넉사자(四字)와 같고, 인중이 뚜렷하고, 이빨이 고르면 이는 길상으로 문장(文章)이 있고 관록을 얻게 된다. 그러나 입술이 건조하거나 거칠고 누른색을 띠고 입이 아물어지지 않고 헤벌려져 있으면 격(格)을 잃은 상으로 빈천하다.

 

화성(火星)은 이마로써 넓고 모지고(方) 팽팽하고 빛이 밝으면 높은 벼슬을 얻고 전장(田庄)과 노복(奴僕)이 많다.

 

토성(土星)은 코의 우뚝한 곳인데 준두(準頭-코끝)가 풍부하고 콧구멍이 들어가지 않고, 콧대가 평만 하고, 곧고 비뚤어지지 않으면 이는 격(格)에 맞는 것이니 복록과 수명을 누리게 된다. 반대로 코가 바르지 못하고, 코끝이 뾰족하거나 두 구멍이 행하게 보이거나 콧대가 함(陷)하면 이는 격을 잃는 것(失格)으로 마음이 바르지 못하며 가업을 파하고 빈천단명(貧賤短命) 한다. 나후(羅睺-왼쪽눈썸)와 계도(計都-오른쪽 눈썸)는 검고 가지런하고 길이가 눈보다 길고, 두 눈 눈썹의 모양이 같으면 길상으로 의식이 족하고 부모 장수하며 동기 간도 귀히 된다. 만일 두 눈썹이 서로 닮는 듯하거나 길이가 심히 짧거나, 누른색, 혹은 붉은색을 띠었으면 단명하고 자녀(子女)가 악사(惡死)하게 된다. 태양(왼쪽눈)과 태음(오른쪽눈)은 흑백이 분명하고, 가늘고 길어야 하며 동자가 검고 광채가 있어야 길한 상으로 귀히 된다. 그러나 검은빛 보다 흰색이 많거나 동자가 누르거나, 붉은색을 떤 사람은 부모 처자에게 해만 미칠 뿐 아니라 재앙이 따르고 재산을 파괴하며 단명하다. 월패(月孛 즉 山根)는 곧아야 격(格)을 이룬 것이다. 산근(山根)이 약하거나 비뚤어지면 자손에게 불리하고 처궁이 좋지 않으며 학업을 닦아도 성공하기 어렵고 재앙이 많다.

 

 

5. 오 악 (五嶽)

오악(五嶽)은 중국 땅에 있는 오대산의 이름인데 얼굴의 다섯 군데(이마,코, 좌우 관골, 턱)의 솟은 곳을 산악에 비유해서 붙인 명칭이다. 이마는 남방(南方)에 속하니 남악항산(南嶽衡山)이요, 왼쪽 관골은 동남(東方)에 속하니 동악화산(東嶽泰山)이요, 오른쪽 관골은 서방(西方)에 속하니 서악화산(西嶽華山 -여자는 동서의 위치를 바꾼다.)이요, 턱은 북방(北方)에 속하니 북악항산(北嶽恒山)이요, 코는 중앙(中央)에 속하니 중악숭산(中嶽崇山)이라 한다. 남악(이마) 길고 좁으면 재산이 파하고, 동서악은 솟고 조응(朝應)이 길하나 높지 않고 솟지도 않았으며 유약(柔弱)하여 관골이 없는 듯하면 소인의 상이요, 마음이 악독하고, 북악(턱)이 뾰족하면 말년에 곤고하고, 중악(코)은 높고 곧아야 하는데 얇고 약하면 중심이 없고 매사에 실패한다.

오악도

 

6. 사독 (四瀆)

사독(四瀆)이란 깊은 곳 네 곳을 말한다. 귀의 움폭한 곳은 강독(江瀆)이요, 두 눈(目)은 하독(下瀆)이요, 입(口)은 희독(淮瀆)이요, 콧구멍은 제독(濟瀆)이라 한다. 사독(四瀆)은 물의 근원이 깊고 장원(長遠)하여 구비가 순해서 급하지 않아야 재산을 모이게 된다. 귓구멍은 넓고 깊어야 하며, 눈은 깊고 가늘게 길어야 하며, 광채가 있어야 하며, 입은 모지고 바르고 단정하게 다물어야 하며, 구멍은 동글고 윤택하여야 한다. 사독이 모두 이와 같으면 대길한 상인데, 반대로 구멍이 얇고 눈이 얇거나 혼탁(混濁)하고, 입이 헤벌려하거나 입술이 얇고, 콧구멍이 삐뚤어지거나 휑하게 들여다보이는 것 등은 모두 좋지 않은 상이다.

사독도

 

7. 오 관 (五官)

오관(五官)이란 귀, 눈, 입, 코, 눈썹의 총칭이다. 귀는 소리를 듣는다(聽覺)해서 채청관(採聽官)이라 하고, 눈썹은 수명을 보호하므로 보수관(保壽官)이라 하고 눈은 사물을 살핀다(視覺)해서 감찰관(監察官)이라 하고 코는 냄새를 맡는다.(嗅覺)해서 심변관(審辨官)이라 하고, 입은 음식을 먹고 소리를 낸다 해서 출납관(出納官)이라 하였다. 대총부(大總賦)라는 글에 말하기를 「일관(一官)이 십년의 귀를 주재하고, 일부(一府)가 십 년의 부(富)를 주재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일관(一官)이나 일부(一府)의 길격만 갖추어도 능히 십 년간은 귀하거나 부하게 된다는 것이다. 귀는 그 빛깔이 흴수록 귀한데 눈썹보다 높이 붙고, 윤곽이 뚜렷하고, 귀 가죽이 두툼하고 명문(命門)이 관대(寬大) 한 것은 채청관이 잘 되었다고 한다. 눈썹은 맑고, 가지런하고, 귀 있는 곳까지 길고 형상이 아름다워 마치 초승달처럼 생기고 수미(首眉)가 풍성하고, 이마의 중앙에 높게 붙어 있으면 이는 보수관이 잘된 것이다. 눈은 튀어나오지 말아야 하고, 흑백이 분명하고, 동자가 단정하고, 광채가 사람을 쏘는 듯하고 가늘고도 길면 이는 감찰관이 잘 구성되었다고 한다. 코는 곧게 뻗어 단정하고, 인당이 평활(平闊)하고, 산근(山根)이 인당과 연상(年上) 수상(壽上)에 연결되고, 높고 둥그스름하고, 비고(鼻庫)가 도톰하게 일어나서 마치 달아맨 쓸개와 같고, 빛이 누르스름하면서 선명하면 이는 심병관이 잘된 것이라 한다. 입은 모가 나고 크며, 입술이 붉고 단정하고, 두텁고 활처럼 생기고, 벌리면 크나 다물면 작 게 보이는 형상은 출납관이 잘된 것이라 한다. 이상과 같이 오관(五官)이 잘된 사람은 일생을 부귀하나 오관이 아름답지 못하면 빈천하다.

 

오관도

8. 십이학당(十二學堂)

십 이학당이란  四학당과 八학당을 합한 것으로 눈, 이마, 치아, 귓문이며, 8 학당은 머리(頭), 액각(額角), 인당(印堂). 눈빛(眼光), 귀, 이빨, 혀(舌), 눈썹을 말함이니, 즉 눈을 관학당(官學堂), 이마를 녹학당(祿學堂) 앞이(富門兩齒)를 내학당(內學堂), 귀문을 외학당(外學堂)이라 하고(이상 4 학당)

머리(頭)를 고명학당(高明學堂). 이마(額角)을 고광학당(高廣學堂), 인당(印堂)을 광대학당(光大學堂), 눈빛을 명수학당(明秀學堂), 귀를 총명학당(聰明學堂), 이빨을 충신학당(忠信學堂) 혀(舌)를 광덕학당(廣德學堂) , 눈썹을 반순학당(班笋學堂)이라 한다.(이상을 8 학당)

 

눈은 길고 맑아야 관록이 있고, 이마는 넓고 길어야 관직과 수를 누리고, 이는 바르고 총총하게 나와야 정직하고 신의 있고 효도하며 귀문은 만하고 윤기가 있어야 길하다 머리는 둥글고 골(骨)이 솟아야 하고 액각(이마)은 모지고 솟고 윤택하여야 하고, 인당은 평하고 밝고 흠집이 없어야 하고. 눈빛은 검고 밝아 그림자가 비치면 길하고, 귀는 윤곽이 선명하고 희고 붉어야 길하며, 이빨은 고르고 총총하고 서릿발같이 희어야 좋고, 혀는 길고 붉어야 하고, 눈썹은 길고 가지런하여 초승달 같아야 길상이라 한다.

 

십이학당

9. 십삼부위(十三部位)

십삼 부위는 이마의 중앙으로부터 양미간을 지나 코, 입의 중앙으로 턱에 일직선으로 그어서 각각 부위에 속하는 명칭을 붙인 것이다.

 

이마의 위 부분을 천중(天中), 이마의 중앙을 천정(天庭), 이마의 하부를 사공(司空), 두 눈썹 사이를 중정(中正), 그 바로 밑 눈두덩 중간을 인당(印堂), 두 눈 사이 오목한 곳을 산근(山根), 그 밑을 연상(年上), 코의 중앙을 수상(壽上), 코끝을 준두(準頭), 코밑으로 입의 위 부분이 인중(人中), 입을 수성(水星), 아래 입술 바로 밑을 승장(承漿), 턱을 지각(地閣)이라 한다.

 

천중(天中)에 소속된 부위로는 천중으로부터 좌우로부터 천악(天嶽), 좌상(左箱. 오른쪽은 右箱), 내부(內府), 고광(高廣), 척양(尺陽). 무고(武庫), 군문(軍門), 보각(輔角), 변지(邊地)의 좌우 12부위이다.

 

천정(天庭)에 소속된 부위는 일각(日角 .오른쪽은 月角), 용각(龍角), 천부(天府), 방심(房心), 부묘(墓), 상묘(上墓), 사살(四殺), 전당(戰堂) 역마(驛馬) 조정(吊庭)등 좌우 12부위이다.

 

사공(四空)에 속한 것은 액각(額角), 상경(上卿), 소부(小府), 교우(交友) , 도중(道中) , 교액(交額) , 중미(重尾), 산림(山林), 성현(聖賢)의 좌우 12부위이다.

 

중정(中正)에 속한 부위로는 호미(虎眉), 우각(牛角), 보골(輔骨), 원각(元角) ,부극(斧戟) .화개(華盖), 복당(福堂), 채하(彩霞) 교외(郊外)의 좌우 12 부위가 있다.

 

인당(印堂)의 부위에 속한 것으로는 교쇄(交鏁), 좌목(左目), 잠실(蚕室), 임중(林中), 주준(酒樽) , 정사(精舍), 빈문(嬪門). 겁노(劫路), 항노(港路) , 청로(靑路) 등 좌우 그 12 부위가 있다.

 

산근(山根)에 속한 것으로는 태양(太陽. 오른쪽은 太陰), 중양(中陽.오른쪽은 中陰), 소양(少陽. 오른쪽은 少陰), 어미(魚尾), 간문(奸門), 천창(天倉), 천정(天井), 천문(天門), 현무(玄武)등 좌우 12 부위가 있다.

 

연상(年上)에 속한 부위로는 부좌(夫坐) 장남(長男. 오른쪽은 長女), 중남(中男. 오른쪽은 中女), 소남(小男. 오른쪽은 小女), 외남(外男 오른쪽은 外女), 금궤(金櫃), 금방(禁房), 도적(盜賊), 유군(遊軍), 서상(書上), 옥당(玉堂)등 좌우 그 12 부위가 있다.

 

수상(壽上)에 속한 부위로는 갑궤(甲櫃), 귀래(歸來), 당상(堂上), 정면(正面), 고이(高夷), 자매(姉妹). 형제(兄弟), 외생(外甥) 학당(學堂) 명문(名門)등 좌우 그 12 부위가 있다.

 

준두(準頭)에 속한 부위로는 난대(蘭臺 오른쪽은 廷尉), 법령(法令), 조상(竃上) ,궁실(宮室) 전어(典御), 원창(圓倉), 후각(後閣), 수문(守門) 병졸(兵卒), 인수(印綬)등의 좌우 그 12 부위가 있다.

 

인중(人中)에 속한 것으로는 정부(井府), 장하(帳下), 세주(細廚) ,내각(內閣) , 소사(小使) , 복종 (服從), 기당(妓堂). 영문(嬰門). 박사(博士). 현벽(縣壁)등 좌우 12 부위가 있다.

 

수성(水星)에 속한 것으로 각문(閣門), 비린(比隣). 위항(委巷) ,통구(通衢), 객사(客舍), 병란(兵蘭), 가고(家庫), 상려(商旅), 생문(生文) , 산두(山頭)등 12 부위가 있다.

 

승장(承獎)에 속한 것으로는 조택(祖宅), 외원(外院), 임원(林苑), 하묘(下墓), 전장(田庄) ,주지 (酒地), 교곽(郊郭). 황구(荒邱), 도로(道路) 등 그 12 부위가 있다.

 

지각(地閣)에 속한 것으로는 하함(下含), 노복(奴僕), 대마(碓磨), 갱참(坑塹), 지고(地庫), 파지(破地), 아압(鵝鴨), 대해(大海), 주거(舟車) 등 좌우 12 부위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