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수론 (五星水)
풍수에서는 물의 구분과 종류는 매우 다양한데 흐르는 모양을 보고 동양철학의 기본개념인 오행(五行)에 따라 물의 종류를 분류한 것이 오성수(五星水)이다. 이 오성수(五星水)는 목성수(木星水), 화성수(火星水), 토성수(土星水), 금성수(金星水), 수성수(水星水)를 말한다. 오성수는 저마다의 다른 특징을 지니는데 오성(五星)의 형태에 따라 길흉이 구분된다.
설심부의 물에 대한 부분에 오성수에 대한 설명이 있다. 금성은 둥글게 둘러싸고 수성은 구불구불하며 토성은 평평하고 바른 모양인데 모두 길하나, 화성은 뾰족하고 찌르며 목성은 곧장 찌르는 것이니 모두 흉하고 하고 있다. 설심부에 서 말하기를 혈처를 감싸고 가볍게 도는 것이 금성이고, 목성은 소의 코에 걸고 당기는 노끈 같으며, 화성은 급하게 거꾸로 흐르는 인(人) 자 모양이고, 수성은 상하좌우로 굴곡하는 모양이고, 토성은 평평하고 바른 것이 편안하게 흐르는 것이다라고 하고 있다. 지학(地學)에서도 금성과 수성은 부귀를 나타내고, 토성은 풍후(豊厚)하고, 목성은 빈궁(貧窮)으로 좋지 않고, 화성은 재앙으로 가장 좋지 않은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을 물 흐름에 따른 유신(流神)이라고 하여 길흉을 나누어 논하였다. 이것은 모두 나를 안아야 좋은 것이라 말하는데 금성수가 나를 배반하면 급성 전염병이 불같이 닥치게 되고, 수성수는 둥근 가운데를 향해야 하나 중간에 끊어지거나 꺾인 곳을 향하게 되거나, 토성수 역시 꺾인 구석을 향할 경우에는 좋지 않다고 하였고 화성수가 뾰족하게 된 곳을 향하면 그 궁하기가 가련할 정도라고 하고 있다.
인자수지에서 오성수를 구체적으로 분류한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의 순서는 좌측으로부터 목성수, 화성수, 토성수, 금성수 및 수성수의 모습으로 중앙의 모습이 혈(穴)이고 위측으로 당해 혈을 중심으로 흐르는 물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목성수(木星水)
목성수는 곧바로 무정하게 흘러가는 것으로 크게 흉하다. 직목(直木), 횡목(橫木), 사목(斜木)이라는 삼격(三格)이 있는데, 직목은 곧바로 찌르듯이 들어와 쏘는 것으로 흉하다. 횡목은 물이 혈을 뚫고 옆으로 곧바로 급하게 지나가는 것인 데 혈을 원하는 것이 전혀 없으므로 흉하다. 사목(斜木)은 물이 오고 가는 것이 무정하므로 흉하다.
화성수(火星水)
화성수는 뾰족하게 들어와 파괴하고 부수는 것이니 가장 흉하다. 양격(兩格)이 있는데 양변 모두를 가지면 쌍화(雙火), 한쪽 변만 가지면 단화(單火)라고 하는 데 모두 흉하다.
토성수(土星水)
토성수는 옆으로 평평하게 모난 것이니 절반 정도만 길한데 오직 하나의 격만 있다.
금성수(金星水)
금성수는 혈처를 둥글게 감싸 안은 것으로 가장 길하다. 삼격(三格)이 있는데 정금(正金), 좌금(左金), 우금(右金)이다. 정금은 둥글게 감싸 안듯이 활을 당긴 것 같이 둥글고 좌우 어느 쪽으로 오가도 좋으며, 좌금은 물이 우측에서 와서 좌측으로 둥글게 돌아나가며 우금은 물이 좌측에서 와서 우측으로 둥글게 돌아나가는 것이다.
수성수(水星水)
수성수는 지현(之玄), 굴곡(屈曲)하는 것으로 가장 길하다. 삼격이 있는데 정수(正水), 좌수(左水), 우수(右水)이다. 정수는 혈 앞으로 물길이 구불구불 흘러들어오는 모양이고, 좌수는 혈의 좌측에서 물이 와서 혈 앞에서 굴곡하여 다시 좌측으로 흘러가는 것이고, 우수는 혈의 우측에서 물이 와서 혈 앞에서 굴곡하여 다시 우측으로 흘러가는 것이다. 풍수에서는 물을 중시하고 있다. 물의 색으로도 길흉을 정하고 물의 고인 모습으로도 길흉을 판단하지만, 물의 흐름 즉, 수세(手勢)를 중시하고 있다. 하나의 하천을 기준으로 하면 어느 하천은 오성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을 수도 있으며 어느 한두 가지의 특성을 지역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수세는 물길의 흐름의 모양에서 나타나고 구분하고 있다. 혈(穴)을 중심으로 찌르듯, 스치듯 하는 형국은 흉한 수세로 보고 있고 감싸 안는 모습이나 구곡(九曲)하는 수세는 길한 형국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득수법(得水法)
물의 오는 곳과 가는 곳(得破)
풍수에서는 그 성국을 이루는 물이 흘러오는 곳을 득(得) 또는 견(見)이라 하고, 흘러가는 곳을 파(破) 또는 불견(不見)이라고 하는데 득은 얻는다는 것이고, 견은 본다는 것이며, 파는 흩어진다는 것이고 불견은 보지 못한다는 것이다. 풍수의 요체가 음양의 생기를 타는 것이기 때문에 물의 오고 감에 있어서도 이를 음양으로 구분하여 생기의 활동을 돕도록 해야 한다. 또한, 물이 흘러오는 곳을 천문(天門), 흘러가는 것을 지호(地戶)라고도 한다.
내득수와 외득수
호수경에서는 물이 오는 곳과 물이 가는 곳을 단기(得)와 파류(破)로 구분하 고 있는데, 단기(短氣)는 물이 오는 곳을 말하고, 파류(破流)는 물이 나가는 것을 말한다. 물이 흘러오는 득(得)은 용혈의 생명을 받는 입(口)에 해당하기 때문에 물이 들어오는 곳의 정위치에 있어야 하고 튼튼해야 한다. 득(得)에는 내득수(內得水)와 외득수(外得水)가 있는데, 내득수에는 청룡과 백호사이 내명당에서 처음 보이는 물의 거처(始見水處)를 내득수라고 하는 설과 주룡과 혈장의 변화· 굴곡작용에서 스스로 생기는 물의 거처(生水處)를 내득수라고 하는 설이 있다.
내파구와 외파구
외득수는 용호(龍虎) 밖에서 용혈을 향해 유입하는 외수(外水)가 처음 보이는 곳을 기점으로 한다. 파(破)는 혈과 명당의 대문(大門)이다. 파에도 내파구(內破口)와 외파구(外被 口)가 있는데, 내파구는 중명당(中明堂), 내수(內水)가 나가는 곳을 말하며 외파 구란 대명당내 외수(外水)가 마지막 보이는 곳을 말한다. 파(破)를 수파(水 破)라고도 표현한다. 세종대에 황희, 신상, 김자지 등이 명당좌우의 물이 모두 직류하여 면전에 합하였고 청룡과 백호도 곧바로 달려가 수백 보(步) 후에 동쪽으로 빠졌으니 수파(水破)가 무정(無淸)하다고 하면서 수파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인조대에도 계운궁의 묘소와 관련하여 고양의 옛 관아 뒷산은 형세는 지극히 아름다우나 물이 곧장 빠져나가는 것(水破直去)이 작은 결점이라고 하면서 역시 수파를 물이 빠져나가는 마지막 지점을 칭한 것을 알 수 있다. 득파론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파는 흉한 방위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물이 나가야 할 곳인데 들어오면 눈물이 흘러 쌓이고, 물이 들어와야 할 곳으로 나가면 몸이 다치거나 패배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물이 들어올 방향과 나가는 방향이 따로 있다는 것으로서 들어올 방향으로 나가는 물도 좋지 않고 나가야 할 방향으로 들어오는 물도 좋지 않다는 것으로 마땅히 물은 들어올 곳에 들어오고 나가야 할 곳에 나가는 물길의 흐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방향에 따라 길성이 결정된다
산은 좋은 방위에서 와야 하고 물은 나쁜 방위로 빠져나가야 한다. 산이 일어나는 방위가 좋으면 복록이 나날이 더하고, 물이 나가는 방위가 흉하면 복록이 오래간다. 즉, 물은 각자 좋은 방위에서 들어와서 나쁜 방위로 가야 한다는 것으로 풍수고전에서는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방위가 있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명산론은 형기론적 관점이고, 지리신법은 이기론적 관점이다. 명산론에 서는 흉방(凶方)이라는 것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나 산과의 관련성에 그 기준을 두고 있는데 물은 산을 취하고자 하는데 산을 취하지 못하면 기가 아직 응하지 않은 것이고, 혈은 물을 얻어야 귀하게 되는데 물을 얻지 못하면 음덕이 없다라고 하여 물의 방위는 산과의 관련성에서 흉한 방향이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지리신법에서는 이기론의 관점에서 물이 흉방(凶方)에서 들어오면 어긋나고 어그러지며 물이 길방(吉方)으로 나가면 다치거나 재앙이 생긴다. 득이 길 하고 파가 흉하면 처음에는 복을 받다가 나중에는 재앙이 생기고, 득이 흉하고 파가 길하면 처음에는 재앙이 있다가 나중에는 복을 받는다고 하였다. 구성 (九星) 중 문곡수, 염정수, 녹존수는 물이 빠져나가는 방향에 있어야 좋으며, 물이 들어오는 방향에 있으면 흉하다고 보았다. 즉, 문곡, 염정, 녹존은 득방향에 있어서는 안 되며 흉방향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거문수와 좌보·우필은 득파 어느 방향에 있어도 좋으나, 파군수는 득파 어느 방향에 있어도 안 된다고 하였다.
물길에 따른 길흉
탐랑(養:長生)은 길성(吉星)이기 때문에 탐방 방위로 물이 들어오는 것은 좋지만, 물이 이 방향으로 나가면 길(吉)한 방위로 나가기 때문에 오히려 흉하고 모든 일이 쇠퇴한다.
* 탐랑(養:長生): 풍(風)과 물(水)이 양호하고 조화를 이루는 상태
문곡(休浴:冠帶)은 흉성(凶星)이기 때문에 문곡 방위로 물이 들어오는 것은 좋지 않지만, 물이 이 방향으로 나가면 흉(凶)한 방위로 나가기 때문에 오히려 길하다.
* 문곡(休浴:冠帶): '휴식(休)'과 '목욕(浴)'을 의미, 건축물의 위치, 방향, 그리고 주변 지형과 관련된 요소들을 고려.
무곡(臨官:帝班)은 길성(吉星)이기 때문에 무곡 방위로 물이 들어오는 것은 좋지만, 물이 이 방향으로 나가면 길(吉)한 방위로 나가기 때문에 오히려 흉하며 가난하고 요절한다.
* 무곡(臨官:帝班): 임금의 자리와 반이라는 의미에서 파생, 무곡은 주로 건축물의 주요 출입구나 중심 축선과 관련 있음.
염정(死:病)은 흉성(凶星)이기 때문에 염정 방위로 물이 들어오면 흉하여 재앙을 입고, 물이 이 방위로 나가면 흉(凶)한 방위로 나가기 때문에 오히려 길하여 복이 된다. 파군(墓:葬)은 흉성(凶星)이기 때문에 물이 들어오고 나감 모두가 흉한데 흘러 나가는 방위가 파군일 경우가 들어오는 방위가 파군인 것보다 더 흉하다. 그 이 유는 기운을 깨뜨려 남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건곤간손(乾神良巽) 방위의 득파는 모두 무방하다.
* 염정(死:病): 염정은 '죽음(死)'과 '병(病)'을 의미하는데, 건축물이나 토지의 부적절한 조건으로 인해 생기는 나쁜 결과.
녹존(胎:紀)은 흉성(凶星)이기 때문에 녹존 방위로 물이 들어오는 것은 흉하고, 물이 이 방위로 빠져나가면 흉(凶)한 방위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오히려 길하다.
*녹존(胎:紀) : 녹존은 건물이나 토지가 태의 원리를 잘 따르고 있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를 적절히 기록하고 있는지를 평가.
거문·좌보·우필(衰)은 길성(吉星)이기 때문에 거문 방위로 물이 들어오면 재물이 쌓여 부자가 되며, 거문방위로 물이 나갈 때는 재물과 부가 더욱 쌓인다. 좌보와 우필 역시 거문과 유사하다.
*거문(衰): 건물이나 토지의 낙후된 상태를 나타낸다. 건물이나 토지의 주변 환경이 쇠퇴하거나 퇴보한 상태일 때 사용된다. 이는 주변 환경이 충분한 자원과 관리를 받지 못하여 노후화되고 쇠퇴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좌보(左傍): 좌측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건물이나 토지의 좌측에 어떤 요소가 있을 때, 그 요소가 건물이나 토지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한다. 좌측에는 보통 적운(疾雲)이나 부정적인 에너지가 흘러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좌보의 영향을 평가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
*우필(右被): 우측을 덮는 것을 의미한다. 건물이나 토지의 우측에 있는 무언가가 해당 건물이나 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우측에는 일반적으로 길운(吉雲)이나 긍정적인 에너지가 흘러들어오므로, 우필의 영향을 고려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구성 중 대부분은 물의 방향이 길한 곳에서 와서 흉한 곳으로 빠져나 가야 한다는 원칙에 입각하고 있으나, 거문·좌보·우필만은 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거문은 제왕과 주인의 자리이며 좌보와 우필은 이를 보좌하는 것이다. 즉, 물이 거문방향에서 들어오면 제후가 천자에게 조공을 바치는 것과 같고, 물이 거문방향으로 흘러가면 천자가 여러 신하들에게 상을 내리는 것과 같기 때문에 길하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물이 빠져나가는 것이 녹존방위에 있는 곳이 가장 길하고 다음이 좌보·우필·거문이며 다음이 염정이며 다음이 문곡이다.
수구(水口)
수구(水口)란 물이 명당과 청룡·백호, 안산을 지나 내외의 제반 모든 물이 서로 합쳐져 흘러나가는 지점을 말한다. 수구의 명칭에 대해서는 세 가지의 견해가 있는데 첫째는, 용에 입이 있듯이 청룡과 백호가 얼싸안은 곳이 마치 입처럼 생겼기 때문에 용머리의 입이라는 의미에서 수구라고 했다는 설과 둘째는, 내통의 입수(入首)가 마치 청룡과 백호가 서로 입을 갖다 댄듯한 곳이기 때문에 수구라고 했다는 설이 있으며 셋째는, 청룡을 양, 백호를 음으로 보아 청룡의 양수(陽水)를 백호가, 백호의 음수(陰水)를 청룡이 서로 입을 대고 마심으로써 양자의 생기가 유지되도록 하는데, 먹기 위해서는 입이 필요하며, 청룡과 백호가 모두 물을 먹는 입을 마주하기 때문에 수구라고 한다는 설이 있다.
청룡(양수구)과 백호(음수구)
수구(水口)는 음양의 충화(沖和)라는 점에서 풍수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신사 중에서 혈에서 보는 기준으로 왼쪽에 있는 청룡은 양으로 오른쪽에 있는 백호는 음이라고 한다. 청룡의 안쪽을 따라 흘러나오는 물을 양수(陽水)라고 하고, 백호의 안쪽을 따라 흘러나오는 물을 음수(陰水)라고 할 때, 이 양수와 음수가 합쳐지는 곳이 수구(水口)가 된다. 음양의 충화(沖和)가 되는 곳 이 바로 수구(水口)인 것이다. 이는 마치 남녀가 기를 합하기 위해 서로 입을 맞추는 것과 같다. 따라서 풍수의 성국(成局)에서 수구가 없어서는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구의 유형은 청룡이 짧고 백호가 길어, 백호가 청룡을 둘러싼 듯 한 수구를 음수구(陰水口), 이와 반대로 백호가 짧고 청룡이 길어, 청룡이 백호를 둘러싼 듯한 수구를 양수구(陽水口), 청룡과 백호의 길이가 대등하게 상대하는 경우를 음양합수구(陰陽合水口)라는 세 가지가 있다. 수구는 원래 음양 양수(兩水)가 합치되는 곳이므로 모두가 음양합수구라고 해야 하나 특별히 음수구, 양수구라 하는 것은 청룡이 길 경우에는 양수가 음수보다 우세하고, 백호가 길 경우 에는 음수가 양수보다 우세하기 때문에 어느 쪽이 우세한 지에 따라 이름 붙여진 것이다.
좋은 수구의 조건
수구는 막힌 것, 좁은 것이 가장 좋다. 수구로 나가는 것은 물뿐만이 아니라 바람도 빠져나가기 때문에 수구를 통해 물은 빠져나갈지라도 바람은 빠져나가서는 안 된다. 따라서 물이 흘러가는 수구가 산으로 가로막혀 있는 지세에서는 물이 산을 감싸고돌아 나가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바람은 직접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만약 수구에 산이 없거나 너무 넓어 물이 일직선으로 빠져나간다면 마을의 생기까지 따라서 나가게 된다.
따라서 수구의 크고 작음을 살피서 길지를 찾게 되는데, 큰 혈처를 찾으려면 빗장을 걸어 잠그는 국세를 살펴야 한다. 이 국세의 크고 작음은 수구산의 크고 작음이다. 먼저 수구산을 찾아 수구가 이빨처럼 꽉 다물고 있는 곳이라면 그 안의 판국은 넓고 넓은 것이다라고 하여 수구의 기본적인 조건은 빗장을 걸어 잠그고 양 이빨이 꽉 다물듯이 기운이 빠져나가지 않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조건으로 삼았다. 설심부에서도 예쁜 수구라는 것은 긴밀함이 호리병의 목과 같은 것(水口則愛 其緊呂菊盧候)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결국 호리병의 목과 같이 가늘 고 긴 수구가 이상적이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길한 곳을 택하는 절차는 먼저 수구를 보고, 다음에 형세를 보게 된다. 그리고 산의 모양을 보고, 다음에 흙의 빛깔을 보고, 다음에 물을 보고, 다음에 조산, 조수를 본다고 하여 입지선정에 수구를 살피는 것이 가장 먼저라고 하였다. 또한, 무릇 수구가 엉성하고 넓기만 한 곳에서는 비록 좋은 밭만 이랑과 넓은 집 천칸이 있다 해도 대를 이어 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집터를 잡으려면 반드시 수구가 꽉 닫힌 듯하고, 그 안에 들이 펼쳐진 곳을 눈여겨보아 구하라고 하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수구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관쇄(關鎖)이다. 즉, 물길은 바람길이 되는데 물길을 따라 물이 흘러갈 뿐만 아니라 바람도 빠져나가게 된다. 즉, 풍수의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인 장풍(藏風)과 관련되는 것이다.
'풍수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지리 하나은행 사옥의 입지분석 (0) | 2024.04.02 |
---|---|
풍수지리 궁수반궁수론 물길의 모양과 길흉 (1) | 2024.04.02 |
풍수지리 물(水) 생기를 붙어 넣는 혈관 (0) | 2024.03.31 |
풍수지리에 사주팔자 시간 개념을 적용 시킨 현공풍수 (1) | 2024.03.26 |
서양의 풍수지리 활용 - 미국, 영국, 독일 (2)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