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팔자

용신(用神)에 관하여(억부용신 편)

반응형

용신이란 사주에서 소용(所用)하는 것이니 오행(五行)과 육친(六親)의 기질에 따라서 유익하게 소용하는 것을 말한다. 아(我)인 일간(日干)을 감싸주고 보호하며, 꾸짖고 충고하는 역할을 하는 주체의 육친(六親)이다. 일간인 아(我)가 약하면 보호하고, 강하면 꾸짖어 사주의 균형을 이루게 하는 역할이다. 어떠한 사주이든 용신이 없는 것이 없다. 그러나 어떤 것이 용신이 되는 것인지는 찾기 쉽고도 어렵다. 용신을 찾기에는 현명한 지혜가 필요하며, 용신을 찾는 데는 기본 공식이 필요하다.

첫째, 일간(日干)의 강약(强弱)을 먼저 보고 - 억부용신(抑扶用神)

둘째, 추운지(寒), 더운지(暖) 온도를 보고 - 조후용신(調候用神)

셋째, 메마른지(燥), 습지(濕)인지를 살핀다.

넷째, 병들어 있는 놈(병약: 病弱)을 찾아내고 - 병약용신(病弱用神)

다섯째, 싸움질하는 놈(통관: 通關)은 뜯어말리며 - 통관용신(通關用神)

여섯째, 매우 센 놈(전왕: 專旺)은 건드리지 말고 그냥 놓아두자 - 전왕용신(專旺用神)

이와 같이 기본 공식으로 사주를 살피고 그 형태를 정하여 요신을 잡는다. 모든 사람들의 사주는 다섯 가지 공식 안에 포함된다. 용식부터는 사주학에 적용을 배우는 것이다.

 

1. 억부(抑扶)법

사주의 자기 자신은 일간(日干)을 중심으로 월지(月支)와 일지(日支)를 살피고 주변 세력을 분석하여 사주가 신강(身强)인지 신약(身弱)인지를 가리어 신약이면 일간을 도와주고, 신강이면 억류시키는 육친을 선택하는 것을 억부용신이라 한다. 사주에서 강약을 가리기가 애매모호한 경우가 많다. 이를 구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이 필요하다.

■강(强)의 구분 공식

득령(得令) 월지(月支)가 "인성"이거나 "비견", "겁재"인경우
득지(得地) 일지(日支)가 "인성"이거나 "비견", "겁재"인경우
득세(得勢) 세력(주변)이 "인성", "비견", "겁재"가 네 개 이상일 경우

월지를 얻으면 득령이 되고, 일지를 얻으면 득지가 되며, 세력을 얻으면 득세가 된다.

■약(弱)의 구분 공식

쇠령(衰令) 월지(月支)가 "정관","편관"이거나 "식상" 재성인 경우
쇠지(衰地) 일지(日支)가 "정관","편관"이거나 "식상" 재성인 경우
쇠세(衰勢) 세력(주변)이 "정관", "편관", "식상재성"이 네 개 이상일 경우

사주가 신강인지 신약인지를 정확히 보려면 수많은 사주를 직접 접하여 관찰 분석해 보아야 한다.

■강약 구분표

  최강 중강 약화위강 강화위약 중약 최약
월지(月支) o o o x o x x x
일지(日支) o x o o x x o x
세력(주변) o o x o x o x x

 

ⓐ신강: 월일지(月日支) 세력이 인성이나 비겁이면 최강이며, 월지와 세력이 인성이나 비겁이고 일지가 관성이나 식상 재성이면 중강이 되고, 월일지(月日支)가 인성이나 비겁이고 주위 세력이 관성, 식상 재성이 많으면 강이 되며, 월지(月支)가 관성 및 식상 재성이나 일지(日支)와 주위 세력이 인성과 비겁이면 위강으로 강으로 본다. 약화위강은 원래는 약한데 강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신약: 월일지(月日支) 세력이 관성 및 식상 재성이면 최약이며, 월지(月支)와 세력이 관성 및 식상 재성이고 일지(日支)가 인성과 비겁이면 중약이 되고, 월일지(月日支)가 관성 및 식상 재성이고 주위 세력이 인성과 비겁이면 약이 되며, 일지(日支)가 인성 및 비겁이나 일지 주위 세력이 관상과 식상 재성이면 위약으로 약으로 본다. 강화위약은 원래는 강한데 약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사주팔자(四柱八字) 전체를 통틀어 저울이라고 한다면, 저울대의 손잡이를 일간(日干)으로 볼 수 있고, 저울의 긴 막대인 저울대를 월지(月支), 물건을 다는 곳을 대운(大運), 저울의 추를 용신(用神)으로 볼 수 있다. 용신을 잘 찾아서 수평을 맞추는 것이다. 강하면 급히 덜어주는 육친을 찾고, 약하면 급히 도와주는 육친을 찾아야 한다.

 

■신강용신(身强用神)

사주가 강하다고 판단이 되면 그다음은 용신을 찾는 일을 시작해야 한다. 이 강한 사주를 억제하여야 하는데 극(剋)으로 억제를 할 것인지, 아니면 설기를 시켜 억제를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즉 관살로 직접 억제하는 것과 식상으로 기운을 빼는 것인데 이렇게 보면 극(剋)에도 음양(陰陽)이 보인다. 관살로 억제하면 직접적으로 확실한 양(陽)적인 억제이고, 식상으로 기운을 빼는 것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음(陰)적으로 볼 수 있다.

■신약용신(身弱用神)

사주가 무엇 때문에 약해졌는가를 살펴보고 그 약해진 원인에 따라 인성으로 도울 것인지 아니면 비겁으로 도울 것인지 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신약사주는

시(時) 일(日) 월(月) 년(年)

월지는 득령(得令)이나 일지가 쇠지(衰地)가 되고 세력이 쇠세(衰勢)하여 신약 한 사주가 되었다. 신약의 원인이 일지의 식신이 기운을 뺏어가고 정관의 극(剋)이 심한 것이 원인이 되었다. 일지를 도울 수 있는 것은 월지의 정인과 연간의 겁재뿐이다. 겁재는 정관에 의해 극을 당함으로 맞는 매를 덜어주기 밖에 못한다. 그러함으로 겁재는 용신으로는 미약하다. 월지의 정인은 일간에 기운을 더해 주고 일지의 식신을 극하며, 정관들이 용신을 돕는 희신으로 변하게 한다. 그러므로 월지의 申에게 힘을 실어주어 정인을 용신으로 쓰는 게 마땅하다.

반응형

'사주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신(用神)에 관하여(병약용신 편)  (0) 2023.01.19
용신(用神)에 관하여(조후용신 편)  (2) 2023.01.18
육친(六親)에 관하여  (0) 2023.01.16
상충(相沖)에 관하여  (0) 2023.01.15
상합(相合)에 관하여  (0) 202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