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

(123)
심리학자 아들러 열등감이 인생에 미치는 영향 열등감과 우월감 콤플렉스, 우리 인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우월성을 향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하는가? 우월성을 향한 노력은 절대 멈추지 않는다. 사실 한 개인의 정신세계인 마음을 구성하는 것이 바로 이 '노력'이다. 삶이란 목표 또는 형태를 완성하는 과정이며, 그 원동력이 바로 우월성을 향한 노력이다. 그 노력은 모든 것을 함께 끌고 내려가는 거대한 물결의 흐름과도 같다. 한 느긋한 아이가 활동성이 부족하고 어떤 것에도 흥미를 보이지 않을 때, 우리는 그 아이가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아이의 내면 속에 우월한 존재가 되고 싶은 욕구는 이렇게 말한다. "내가 게으르지 않다면, 대통령도 될 수 있을 텐데.” 말하자면 그 아이는 주어진 상황에 따라 조건적으로 움직이며 노력하..
심리학자 아들러 열등감의 원인과 극복 열등감 콤플렉스와 우월감 콤플렉스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열등한 신체기관이 우월한 무언가를 발달시킨다 우리는 시력이 나쁜 아이들이 시각적인 것에 더 큰 관심을 갖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들은 이렇게 해서 예민한 시각 능력을 발달시킨다. 심한 난시를 앓았던 시인 프라이타크는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사실 시인이나 화가 중에는 시력이 좋지 않았던 경우가 많은데, 나쁜 시력이 시각적인 것에 대한 더 큰 관심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프라이타크는 자신에 대해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내 시력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떨어졌기 때문에 나의 환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훈련할 수밖에 없었던 것 같습니다. 이것이 훌륭한 작가가 될 수 있도록 나를 도왔는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어찌 되었건 나는 사람들이 ..
심리학자 아들러 열등감과 우월감의 관계 누구나 열등감을 느끼고 우월감으로 보상받으려 한다 의식과 무의식은 하나다 개인심리학은 인간의 정신 영역을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용어로 구분 지어 나눌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의식과 무의식은 같은 방향으로 함께 움직일 뿐 아니라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서로 모순되는 개념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이 두 개념 사이에는 뚜렷한 경계선도 없다. 따라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의식과 무의식이 함께 움직이는 목적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뿐이다. 이 둘 사이의 전체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나서야 무엇이 의식이고 무의식인지 결정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 관계는 원형을 통해 드러난다. 다음의 사례는 의식적인 삶과 무의식적인 삶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 40세의 한 남성은 창문 밖으로 뛰어내리고 싶은 충동에 기인한 불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