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손금

(39)
손금에 태양선 자리에 그릴선이 있으면 돈 걱정이 없다 태양선이 나타나면 운세의 찬스가 돌아온 것이다  태양선은 어디서 시작되었더라도 약손가락 쪽을 향해 올라가기만 하면 좋은 것이나, 한줄기로 깊고 굵게 팬 것을 좋은 상으로 본다. 이런 사람은 1백만큼 노력을 하면 2백만큼의 성공을 거두고 그만큼 재운도 따르게 되어 있다. 반대로 태양선이 전혀 나와 있지 않거나, 나와 있더라도 가늘고 빈약한 경우는, 안 됐지만 노력한 만큼 보상을 받지 못하는 상이다. 이런 사람은 1백만큼 노력을 해도 50 정도만큼의 보상밖에 받지 못하는 것이다. 손금 좋은 사람이 1백을 노력해서 2백을 거두는데, 필자는 1백을 노력해서 50밖에 거두지 못하니, 같은 일을 하고 4분의 1밖에 보수를 받지 못한 것처럼 억울하지 않은가! 그러나 그 대신 노력을 두 배만 한다면 보통사람들이 보통 ..
삼성 이병철 회장의 손금(재물운) 억만장자 이병철(李秉喆) 회장은 제왕의 손금이었다 태양선은 길면 길수록 금전운이 좋은 상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이 태양선은 감정선까지 뻗어가는 것이 보통인데, 이보다 더 길게 뻗을 때면, 금전운이나 물질운이 좋을 때이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그렇게 길었던 태양선도 시간이 지나고 생활이 변화하는 데 따라, 짧아지거나 혹은 사라져 버리는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면 여기서 이른바 억만장자億萬長)의 손금이란 어떤 것인가, 한번 구경해 보자.  위의 그림은 손바닥 한가운데(화성평원)에서 가운뎃손가락 쪽(토성의 언덕)으로 뻗어 올라가는 운명선의 시발점이 약손가락 쪽(태양의 언덕)에서 뻗어내려온 태양선과 만난 데다가, 새끼손가락 쪽(수성의 언덕)에서 뻗어내려 온 '재운선(運)'과도 만난 상이다. 흡사 솔잎모양으로 세..
유산 상속 처가 시댁 덕에 재물운이 상승하는 손금 운명선이 달의 언덕에서 나오면 처가의 도움을 받는다  A 같은 손금은 운명선이 감정선과 합류해서 둘째 손가락 아래쪽에 있는 '목성의 언덕(木星丘)'까지 뻗어 있는 모습이다. 이 그림에서는 운명선의 시발점이 '달의 언덕(月丘)'의 아래쪽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손바닥의 한가운데서 나와 있어도 상관없다. 달의 언덕에서 운명선이 나와 있는 경우는 결혼을 계기로 크게 발전할 상으로 본다. 남자라면 처갓집이나 그 친척 등이 밀어주게 되어 장래가 훤히 트이게 되는 상이며, 처갓집의 사업을 물려받거나 사업에 동참함으로써 크게 발전하는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운명선이 손바닥 한가운데서 나와 있는 경우는, 처갓집의 지원이나 원조가 더 넓은 범위로 이루어진다는 암시가 있다.  그러나 운명선이 감정선과 합류하는 모양이 ..
두뇌선이 발달하여 재물운이 좋은 손금 두뇌선이 제2화성의 언덕으로 뻗으면 이재(財)에 빈틈이 없다   위의 그림은  두뇌선이 곧장 '제2화성의 언덕' 쪽으로 뻗어 있다. 이런 손금은 금전감각(金錢感覺)에 뛰어나서 이재(財)에 빈틈이 없는 사람이다.  그림 같은 두뇌선을 갖고 있으나 약손가락 밑쯤에서 지선이 아래로 갈라져 나와 있다. 이런 손금은 법률관계나 조사(調査)하는 일로 성공해서 재산을 이루는 상이라고 한다.  그림을 보자. 이것은 두뇌선의 위쪽에 또 하나의 두뇌선이 나와 있는 모습이다. 이런 손금을 가진 사람은 재주가 무척 많아서, 그 여러 가지 재주로 말미암아 크게 돈을 번다는 상이다. 노래를 가수(手) 뺨치게 잘 불러서 독집디스크를 내는 '탤런트'들을 보면 가끔 이런 손금이 아닌가 생각하는 것이다. 두뇌선의 길이는, 보통 약손가락..
손가락을 보면 부자가 될 사람인지 알 수 있다 손가락 길이에 따른 재물운 차이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의 길이를 보고도 금운(金運)을 알 수가 있다. 손가락의 길이는, 네 손가락 중에 가장 긴 가운뎃손가락이 대체로 손바닥의 10분의 8 정도의 길이가 되는 것이 표준치이다. 그래서 이보다 손가락이 긴 사람은 정신적인 경향이 강하고, 손모양으로 보자면 사색(思索) 형이거나 무드형 중의 '뾰족' 형에 속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무튼 이런 사람은 손쉽게 큰돈을 벌기는 어려운 상이다. 그러나 무슨 일에나 세밀하고 신중하게 신경을 쓰기 때문에 '데이터' 분석 등에는 재능이 있어 이것을 '돈 버는 일'에 연결시키면 큰 성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이와는 반대로 네 손가락이 짧은 사람은, 작은 일에는 신경을 쓰지 않으며, 무슨 일이나 재빨리..
재물운이 따르는 부자들의 손금 주걱형의 손은 큰돈을 벌 수 있는 재운이 있다 이번에는 손의 모양을 보고 금운(金運)을 판단해 보자.손의 모양은 ① 스탠더드형 ② 주걱형 ③무드형 ④ 사색형 등 크게 4가지 모양이 있다.  ①스탠더드 형=이런 손모양의 사람은 돈에 고지식해서 일확천금 같은 생각은 꿈에도 하지 않는다. 고지식하게 열심히 일만 하니까 끈기 있게 일하며 살아가는 동안 자연히 돈도 모아질 것이다. 이런 사람에게 경리를 맡기면 사장은 안심할 수가 있다. ②주걱형=이런 손모양을 가진 사람은 정력적인 활동가형이다. 기성관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돈 버는 기획력도 뛰어나다. 특히(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손바닥에 태양선(太陽)이나 재운선(財運線) 같은 것이 잘 나타나 있으면 그 진취적인 정신으로 큰돈을 벌 수 있는 재운(財運)을 타고..
손금으로 보는 남녀 궁합 남녀의 상성(相)은 어떻게 보는가? 이번에는 '남녀의 상성(性)'이란 것에 관해서 설명을 하고자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는 불(火)과 나무(木)처럼 만나면 서로 화합해서 활활 타오르는 사이가 있는가 하면 물(水)과 불(火)처럼 서로 해치는 사이가 있다. 그런가 하면 물(水)과 기름(油)처럼 서로 해치지는 않지만 결코 서로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이도 있다. 이런 것들을 상성이라고 해서 그것을 보는 대표적인 것이 궁합(宮)이다. 그런데 '남녀의 상성'이란 것은 자석(石)과 같아서 플러스(+)와 플러스, 마이너스(-)와 마이너스처럼 같은 형끼리 만나서 살게 되면 잘 나가지를 않는 법이다. 곁에서 보면 성격도 취미도 돈씀씀이도 전혀 다른 부부(夫婦)가 이상스럽게도 부부싸움 한번 하지 않고 잘 사는 경우를 보면 ..
두뇌선과 감정선에서 죽음을 암시하는 손금 두뇌선이 토성의 언덕으로 뻗으면 요절 하는 수가 있다 이번에는 두뇌선의 종점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를 보자. 끝난 데가 어디냐에 따라 시발점이 같은 두뇌선이라도 뉘앙스가 달라지는 법이다. 왜냐하면 두뇌선이 향하고 있는 언덕(丘)의 의미가 가미(味)되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제부터 아래 그림을 보면서 그 종점의 의미를 설명하기로 하자.  ▶두뇌선의 끝이 목성의 언덕(둘째 손가락 밑동)으로 향하는 경우 (A) : 이것은 대개 다른 쪽으로 향하는 두뇌선의 지선(線)인 경우가 많지만, 본선(本線)의 의미에 덧붙여 목성의 언덕이 갖는 의미, 즉 지위나 권력에의 야심이나 향상심이 강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단지 너무 길어서 둘째 손가락의 밑동까지 다다를 정도이면 그것이 나쁜 의미로 되어 거만하고 허영심이 강한 ..
두뇌선에 나타난 냉철함 계산성 연애감성 두뇌선이 수성의 언덕까지 뻗은 여자는 피곤한 스타일   두뇌선의 끝이 태양의 언덕(약손가락 밑동) 쪽으로 향하는 경우:이런 손금을 가진 사람은 예술이나 기술의 재능을 타고났는데 게다가 그것을 사업화 (事業化)해서 돈을 크게 번다는 상이다. 프랑스에서는 이것을 '잔다크의 손금'이라 해서 여성의 경우는 자기의 연애를 희생해서라도 공적(公的)인 사업이나 사상(思想:主義)에 몸을 바친다는 상으로 보고 있다.  두뇌선의 끝이 수성의 언덕(새끼손가락 밑동) 쪽으로 향하는 경우: 이런 손금은 사건처리에 대한 특수한 재능이 있는 상이라고 한다. 남자의 경우라면 사법관계의 직업에 적성이 있지만 여성의 경우는 좀 골치 아픈 상이다. 이유가 많고 만사를 그냥 넘어가지 않는 성격이다. 여성끼리는 '피곤한 스타일' 정도로 치면..
두뇌선의 위치에 따라 참을성 독립성 소유욕을 알 수 있다 두뇌선이 손바닥 위쪽으로 치우치면 물욕(物)이 강하다 연애운을 보는 데 두뇌선(頭腦)은 직접 관계가 없을 것처럼 생각되기 쉬우나 당사자의 머릿속이 연애에 관계가 없을 턱이 있겠는가? 요란하게 깡통소리만 나는 무식하고 골 빈 청년에게 똑똑하고 공부도 제대로 하고 거기에 얼굴이나 몸매도 남에게 빠지지 않을 만치 아름다운 여성이 마음을 끌리거나 사랑을 느끼는 일은 흔치 않을 것이다. 그러니까 우선 두뇌선이 좋아야 연애운도 좋기를 바랄 수가 있을 것이다. 수상학(手相學)에서는 두뇌선을 경계로 해서 손바닥을 둘로 나누어 비교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위의 그림처럼 두뇌선에서 손가락을 포함한 윗부분을 정신적인 면, 아랫부분을 물질적인 면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니까 두뇌선이 손바닥 위쪽으로 치우쳐 있는 사람은 그 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