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123) 썸네일형 리스트형 마음에 드는 이성이 있다면 어두운 곳과 높은 곳을 활용해 보자 어둠 속에서는 처음 보는 사람과도 사랑에 빠진다연애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싶은가? 그렇다면 '어둠'을 적극 활용해 보라. 어둠이 어떻게 사랑을 더 깊게 만드는지 알고 나면, 그 효과를 절대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연애 초반에 서로 서먹한 관계이거나, 애착 스타일이 달라서 관계 진전이 어려울 때 어둠의 마법을 경험해 보는 건 어떨까?어둠을 활용하라는 말은 위험한 장소를 찾아가라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조명이 은은하게 어두운 카페, 로맨틱한 영화관, 또는 별이 반짝이는 천체 박물관 같은 안전하고 매력적인 장소를 선택하라는 뜻이다. 이런 장소에서의 데이트는 생각보다 훨씬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어둠이 사랑을 키우는 이유 어둠이 연애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사회심리학에서 여러 차례 실험으로 .. 사랑하지만 1% 부족하다고 느끼는 커플들 사랑하지만 1% 부족하다고 느끼는 커플들 연애를 하고 있지만 뭔가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커플들이 많다. 만나면 즐겁고 대화도 잘 통하지만, 어딘가 모르게 허전함이 느껴지는 경우 말이다. "다음번엔 좀 더 나아지겠지?"라고 스스로를 격려해 보지만, 또 만나도 여전히 뭔가가 채워지지 않는 느낌이 든다. 이러한 감정은 왜 생기는 걸까? 그 답은 바로 '애착 행동 스타일'에 있다. 애착 행동 스타일이란? 애착 행동 스타일은 두 사람이 서로에 대해 느끼는 정서적 유대감과 관련이 있다. 이 스타일은 어린 시절에 형성된 애착 경험에서 비롯되며, 성인이 되어 연애를 할 때도 큰 영향을 미친다. 간단히 말해, 어린 시절에 부모나 양육자와의 관계가 성인이 되어서 연애를 할 때도 비슷한 패턴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예를 들.. 왜 사랑을 고백하기 어려운 걸까? 고백의 타이밍과 장소 왜 사랑을 고백하기 어려운 걸까? 연애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사랑을 고백하는 것이 필수적인 단계다. 물론, 사랑을 고백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연애 관계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사랑을 고백하는 순간, 서로의 감정을 확인하고 관계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특히 첫눈에 반한 사랑의 경우, 고백 없이는 그 사랑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사랑 고백에 어려움을 느낀다. 왜 그럴까? 거절당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거절 후에 느껴질 창피함, 고백 후 관계가 어색해질까 봐 두려운 마음 등이 주된 이유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속으로만 끙끙 앓으며 사랑을 고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랑 고백이 어려운 이유: 목표 기울기 가설 사랑 고백이 어려운 이유는 심리학적인 이론으로.. 첫눈에 반하는 사랑, 진짜 사랑일까? 첫눈에 반하는 사랑, 진짜 사랑일까? 첫눈에 반한 사랑이란 말, 한 번쯤 들어봤을 거다. 이 말이 낭만적이면서도 현실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을 텐데, 첫눈에 반한 사랑이 진짜 사랑일까? 여기서 우리는 첫눈에 반해 결혼까지 이른 사례와 첫눈에 반한 사랑의 현실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첫눈에 반한 순간들: 설렘의 시작 첫눈에 반한 사랑은 우연히 찾아온다. 예를 들어보자. A 씨는 육교를 건너던 중 한 여성에게 첫눈에 반해 그 자리에서 굳어버린 적이 있다. 그녀가 지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A 씨는 그날부터 그녀를 졸졸 따라다니기 시작했고, 결국 결혼까지 이르게 되었다. 또 다른 예로, B 씨는 자원봉사를 하는 한 여성의 모습에 매료되어 그 자리에서 데이트 신청을 했고, 지금은 그녀와 결혼해 함께 .. 연애가 깊어지는 과정 - 싸우면서 사랑은 깊어진다 자신을 드러내야 연애가 깊어진다 연애가 깊어지기 위해서는 단순한 만남을 넘어 서로를 더 깊이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사회심리학자 루이스 R. A. Lewis는 연애를 6단계로 나누어 분석했는데, 이 6단계는 우리가 연애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과 상황을 잘 설명해 준다. 이제 각 단계를 살펴보며 연애가 어떻게 발전해 나가는지 알아본다. 1단계: 유사성의 인지 연애의 첫 단계는 두 사람이 서로의 유사성을 인지하는 단계다. 이 단계에서는 가치관, 관심사, 취미 등이 서로 얼마나 비슷한지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A 씨와 B 씨가 처음 만나서 대화를 나누다 보니 둘 다 등산을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공통점이 두 사람의 관계를 이어 줄 끈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C 씨와 D 씨는 같.. 머스타인의 연애의 3단계 이론(자극 - 가치 - 역할) 연애에는 단계가 있다: SVR 이론으로 보는 사랑의 진화연애는 한 번의 만남으로 모든 것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사회심리학에서는 연애가 진전되는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어떤 심리적인 요인들이 작용하는지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연애 단계설'이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머스타인(B. J. Murstein)이 제안한 '연애 과정의 3단계론', 즉 'SVR 이론'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SVR 이론은 연애의 과정을 S - Stimulus(자극) 단계, V - Value(가치) 단계, R - Role(역할) 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각 단계는 연애의 진행과 함께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럼 SVR 이론을 토대로 연애가 어떻게 시작되고, 전개되는.. 사랑의 6가지 종류와 종류별 궁합 사랑에는 다양한 색깔이 있다. 연애 심리학에서 캐나다의 심리학자인 리 J. A. Lee의 '사랑의 색채 이론'은 빼놓을 수 없다. 이 이론은 연애 심리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랑을 다양한 색깔로 표현하는 독특한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 글에서는 사랑의 색채 이론을 바탕으로 사랑의 유형들을 소개한다. 사랑의 세 가지 기본 유형 에로스 (Eros) 에로스는 그리스 신화 속 연애의 신, 아프로디테의 아들로부터 유래한 이름이다. 에로스 타입은 연애를 가장 소중하게 여기며, 사랑을 위해서라면 모든 것을 버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로맨틱한 행동과 말로 사랑을 표현하며, 종종 상대방의 외모에 강하게 끌린다. 첫눈에 반하는 경우가 많고, 사랑의 시를 짓거나 노래를 만드는 등 열정적이다. 동화 속 신데렐라와 같.. 로버트 스턴버그의 사랑의 종류 구분 - Triangular Love Scale 설문지 Triangular Love Scale의 목적TLS는 이 세 가지 요소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한 개인이 특정 관계에서 경험하는 사랑의 형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열정과 친밀감은 높지만 커미트먼트가 낮을 수 있으며, 반대로 커미트먼트는 강하지만 열정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랑의 유형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Triangular Love Scale(TLS)은 심리학자 로버트 스턴버그(Robert J. Sternberg)가 제안한 사랑의 삼각형 이론(Triangular Theory of Love)에 기반한 측정 도구입니다. 이 이론은 사랑을 세 가지 주요 요소로 설명합니다: 친밀감(Intimacy), 열정(Passion), 그리고 커미트먼트(Commitm.. 로버트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이론과 사랑 유형 8가지 사랑이란 무엇일까? 사랑과 그 요소들을 이해해 보자 사랑이란 무엇일까? 사랑과 호의는 어떻게 다를까? 친구와 애인의 차이는 무엇이며, 짝사랑이란 또 무엇일까? 이 질문들은 수천 년 동안 문학과 철학에서 끊임없이 논의되어 왔다. 하지만 심리학에서 이러한 주제에 본격적으로 다가선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연애에 관한 실증적 연구들은 많은 것을 밝혀냈다. 그중에서도 로버트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 친밀감, 열정, 커미트먼트 스턴버그는 사랑을 '친밀감(Intimacy)', '열정(Passion)', '커미트먼트(Commitment)'라는 세 가지 요소로 설명한다. 이 세 가지 요소가 조합되는 방식에 따라 사랑은 다양한 형태를 띠.. 연애는 흥분 상태에서 시작된다 - 내가 상대방을 좋아하는지 헷갈리때 하는 설문지 연애는 흥분 상태에서 시작된다! 여러분, 감정이 들끓고 불안정한 상태에서 이성에게 끌렸던 경험이 있나요? 사실, 이건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감정적으로 흥분해 있을 때, 이성에게 더 쉽게 끌리게 된다는 사실이 있다. 더튼(D.G. Dutton)이라는 사회심리학자는 이 가설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이 실험은 사회심리학 교과서에 자주 등장할 정도로 유명하다. 그럼,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한번 살펴보자. 흔들리는 다리 실험: 연애 감정을 증명하다 캐나다의 캐필라노(Capilano) 강을 가로지르는 아찔한 흔들 다리에서 이 실험이 이루어졌다. 이 다리는 협곡 위 75m 높이에 위치해 있어서, 건너는 동안 엄청나게 흔들렸고, 아래로는 강물이 보일 정도였다. 그야말로 심장이 두근거리고, 손에 땀이 나는 경험을 할.. 이전 1 2 3 4 5 6 7 ··· 13 다음 목록 더보기